경단녀와 경제활동 관계에 대해

 SNS에서 종종 00녀라는 말을 자주 볼 수 있죠?

그중 경단녀라는 단어도 많이 등장하는데요.


여성에 대해 고민을 하는 과정에서

경단녀와 경제활동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경단녀는 경력단절 여성을 줄여서 부르는 말인데요.

직장을 다니기 시작하며 열심히 사회생활을 하고

커리어를 쌓아가던 중 결혼을 하게 되고 출산과 육아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직장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우리 사회에서 경단녀의 증가가 미래 경제에는 어떤 의미일까요?


현재 우리나라의 경단녀 비율은 경제활동 인구를 확인하면 알 수 있는데요.

 

경제활동인구란?

15세가 넘은 사람 중에서 직업을 갖고 있는 사람(취업자)에 

자리를 구하고는 있지만 아직 찾지 못한 사람(실업자)를 더한 것

 

 

경단녀는 경제활동인구인 취업자에서

비경제활동인구인 가정주부 등으로 바뀐 여성들인데요.

경단녀가 많아질수록 여성의 경제활 참가율이 큰폭으로 떨어진다고해요.

 

2017년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면

20대 후반은 전체 여성의 75%가 일을 하고 있거나 구직중인 반면

30대 초반은 64%, 30대 후반은 60%로 급격히 낮아지고 있어요.

물론 결혼과 출산을 많이 하는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아지는 것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예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경단녀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변화가 크다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경력단절로 인한 낮은 여성 고용은 사회적 손실로도 이어지는데요.

LG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력단절로 인한

우리나라 잠재소득 손실은 GDP 대비 4.9%로 추정된다고 해요.

미국이 0/1% 인데 비해 그만큼 경력단절이 심하다는 의미예요.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은 M자 형태를 띄고 있는데요.

여성 고용률이 30대에 낮아 졌다가 다시 회복하는 형태예요.

문제는 경력이 단절됐던 여성은 기존 일자리나 직업군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단순 노무나 판매직으로

일하게 된다는 점이예요.


재취업 과정에서 이전 직장보다 소득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아

자연스럽게 생계와 연관되어 자연스럽게 둘째를 포기하거나

아이를 낳을 생각을 하지 않는 딩크족이 많이 생겨나고 있어요.

 

요즘 저출산으로 심각해진 고령화와 인구문제..

이런 사회가 계속 반복된다면 고령화로 변화는 사회를

막지 못할 수도 있어요.




사회적인 인식개선과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근절되고

현대 사회에 맞추어 사회로의 복귀 지원이 확대되고 개선되어

출산률 증가 및 고령화 사회가 예방되고

경단녀가 없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성의 한 사람으로 맘들을 생각하고 고민하며..


 


#경단녀 #경력단절 #재취업 #여성취업 #경단녀지원금 #경단녀재취업 #경단녀뜻 #취업

#마담스완 #부산산후관리 #부산산후조리 #부산맘 #해운대맘 #육아맘 #워킹맘 #맘편해라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산시 모든 산모에게 지원한다! 산모신생아관리서비스 지원확대!

산모신생아 관리서비스 현장 인터뷰 -시민리포트-

왕실의 산후보양식 명성황후도 먹은 화반곽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