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의 발달에 중요한 탯줄! 탯줄과 태아와 산모와의 관계

 탯줄은 태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마담스완에서 탯줄의 태아와 산모와의 관계에 대해 준비했어요 :)




탯줄은 태아와 태반 사이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태아에게 보내주고 노폐물을 내보내는 역할을 해요.

탯줄은 임신한 여성의 자궁 내 태아가 있는 양막 안에서

태반과 태아 사이에 위치해요.



탯줄은 임신 4주~8주 사이에 자궁벽에 붙어있는 태아가 분리되면

태반과 함께 형성돼요.

탯줄은 초기에는 다른 기관과 역할을 분담하다가

임신 3개월 정도가 되면 탯줄이 단독적으로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요.



탯줄은 태아에게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하는 걸까요?



산모가 먹는 음식에 있는 영양분을 탯줄을 통해 공급해 줘요.

임신 중 태아는 폐로 호흡하는 것이 아니라

탯줄을 통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함으로써

산소를 흡수하게 되며 탯줄에 있는 2개의 동맥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돼요.



태아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엄마에게서 받은 영양분 중

불필요한 영양분을 배출해 줘요.

태아는 고형물의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노폐물은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한다고 해요.

아주 적은 양의 배변은 출생 전까지 장속에 남아있다가 출생 후 2일 이내

끈적한 흑녹색 변을 배출해요.



임신 기간이 끝날 때까지 엄마의 몸 안에 형성된 항체를 태아에게 전달한다고 해요.

전달된 항체는 아기의 면역 체계 형성에 도움을 줘요.

게놈의 생물학 보고서에 따르면 미성숙한 아기의 탯줄 혈액 세포 분석은

기관지 폐형성 이상과 같은 심각한 폐의 변화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탯줄을 너무 일찍 자르면 아기 건강에 좋을까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2분만 늦게 탯줄을 자르면 10초 이내에 자른 아기보다

철분량이 27~47mg 더 많이 공급된다고 해요.

이는 신생아 1~2개월 필요량에 해당돼요.



각 10초와 3분 뒤 탯줄이 잘린 아기들이 4개월 됐을 때 측정한 결과

늦게 자른 경우가 철분 수치가 더 높아 빈혈에 걸릴 확률이 적다고 해요.

생후 1년간 피로, 황달, 빠른 심장박동 증상이 나타나는 비율도 낮다고 해요.



미국 산부인과학회(ACOG)에 따르면 출산 후

최소 30초~1분 뒤 자르는 것을 권고하고 있어요.

탯줄은 산소와 철분 등의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이 직접 공급되면

아기의 철분 결핍과 빈혈 등을 예방하고 뇌 발달과 면역력도 높일 수 있다고 해요.



탯줄을 자르고 나면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아기가 태어나면 복부에서 4cm 정도 떨어진 부근에서 탯줄을 자르고

약 2cm에서 배꼽 집게로 묶어 놓으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말라서

저절로 떨어져 나가고 남은 부분이 배꼽이 돼요.



탯줄은 생후 7~10일 정도에 말라서 떨어지게 돼요.

그 사이에 70% 알코올을 사용하여 소독하면서

거즈나 솜으로 막아 두지 않고 자연 건조 시키는 것이 중요해요.

탯줄이 떨어지고 난 뒤에도 15일 정도는 지속적으로 소독하는 것이 좋아요.



탯줄이 떨어지고 나서 3~4일 지난 뒤부터는 통목욕을 해도 좋아요.

만약 배꼽에서 악취가 나고 물렁하거나 분비물이 생기고

붉게 피부가 변화되거나 배꼽 부위에 팔알만한 새살이 돋았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해요.



정상적인 탯줄은 동맥 2개와 정맥 1개로 구성되어 있어요.

산소와 영양분이 많은 피는 2개의 동맥을 통해 태아에게 들어오게 되고

태아가 쓰고 배출되어야 하는 것들은 정맥혈 1개의 통로로 내보내져요.



탯줄에서 동맥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단일동맥아라고 해요.

단일동맥아는 탯줄에 동맥이 하나만 생성되는 경우도 있고

동맥이 2개 만들어졌다가 어떤 이유로 한 개가 위축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어요.

단일동맥아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동반되는 기형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정밀진단을 통해 다른 기형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해요.



다른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 50%는 태아가 염색체 이상이 나타나고

20%에서는 태아의 자궁 내 성장이 발생해요.

다른 기형이 동반되지 않는 단일 동맥아는 대부분 특별한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임신 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중요해요.



건강한 출산을 위해 주기적으로 검진받는 것이 좋아요 :)




#탯줄 #태아 #산모 #탯줄형성시기 #탯줄기능 #탯줄역할 #신생아배꼽

#항체전달 #탯줄고나리 #단일동맥아 #산전관리 #임신 #출산

#마담스완 #맘편해라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사업

#부산산후조리 #부산산후관리 #산후조리 #산후관리 #부산맘 #해운대맘 #육아맘

#워킹맘 #임신일기 #육아일기 #육아팁 #베이비케어 #신생아케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산시 모든 산모에게 지원한다! 산모신생아관리서비스 지원확대!

산모신생아 관리서비스 현장 인터뷰 -시민리포트-

왕실의 산후보양식 명성황후도 먹은 화반곽탕